지자체에 지급된 5600억에 달하는 지방소멸기금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는 기사네요.

곧 이사를 다시 나가야하거나 가구를 둘 곳이 없어서 내 취향을 포기하지 않아도 되는 집이었으면 좋겠어요.

잊지 않겠습니다. 기억하겠습니다.

전통적인 페이징 방식이 불편하다면, 다음 페이지를 자동으로 펼치는 대신 더보기 버튼을 두거나, 혹은 자동으로 불러오더라도 자신이 본 시간이나 양을 인지할 수 있게 번호를 붙여준다거나 하는게 대안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접근성 측면에서는 뭐가 좋을지도 궁금해지구요.

구글 휴대전화 찾기 서비스 이야기네요.

스타벅스 공급사로 SPC삼립, 신세계푸드를 언급하네요.

피해자는 지난해 8월에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서비스 해지를 당했고, 운영하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해명으로는 일부 서비스의 본인인증과정에 문제가 있어 지난해 말 보안강화조치를 했다는 내용이네요.

궁금했던 컨퍼런스인데 내용이 잘 요약되어있네요.

선거를 앞둔 현재 기후 의제가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는 인상을 꾸준히 받는데요. (어느 의제는 안 그렇겠습니까마는…) 이것이 곧 유권자들이 관심이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되네요.

처음부터 목표를 동의와 보상으로 잡았다는게 영민하고도 흥미로운 부분 같습니다.

정보를 꽉꽉 눌러담아둔 컨텐츠들은 스킵할 수 없다는 것에 심히 공감하며... 저도 길어도 생각없이 그냥 즐겁게 켜놓게 되는 컨텐츠들이 있는 것 같아요. 팟캐스트라던가.

"소비자는 모양이 예쁜 걸 찾는데, 친환경은 그걸 맞출 수 없습니다."
생협 가서 물건 구매하려고 보면 앞에 대형 마트만큼 식자재들이 반짝거리진 않더라구요. 그걸 먹거리의 질로 인식해온 것에도 변화가 필요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로컬푸드도 생각나구요.
기사는 언론들이 기상이변만 말하는 걸 비판하지만 다른 적절한 이슈가 없어서 기후위기로 넣어둡니다.

사이버 렉카 뿐 아니라 언론의 행태 역시 거의 근접한 수준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은 점, 플랫폼 기업들의 자율규제 강화나 미디어 소비자들의 문제에도 높은 동의수준을 볼 수 있는 것이 눈에 띄네요.

AI의 발전이 가져올 결과를 한국 정치환경 맥락에서 예측하는게 인상적이네요.

빅맥 지수처럼 뭔가 시사점이 있는 기사인가 하고 봤는데 단순히 계산만 해서 다소 실망스러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