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외 24명 에게 촉구합니다.

안녕하세요. 늘 시민을 위해 열심히 일하시는 주무관님께 감사 드리며, 새를 사랑하는 시민으로서 간곡히 요청할 사안이 있어 이메일을 보냅니다.

유리창에 새가 부딪혀 죽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구청 차원에서 계획을 수립하고 꾸준히 지켜나가 주세요!

지난 6월 11일부터 시행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 개정안') 제8조의2에 따라, 앞으로는 공공기관이 건축물, 방음벽, 수로 등 인공구조물에 의한 야생동물 충돌⋅추락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귀 구청에서도 개정된 야생생물법을 준수하여 더 이상 새들이 유리창에 부딪혀 죽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모니터링해 주시길 시민으로서 요청 드립니다. 아직 예산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면 유리창 새 충돌을 막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예산 확보를 위해 애써 주시고 시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연관찰 플랫폼인 '네이처링' 내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조사' 미션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4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조사된 서울시내 유리창 새 충돌 사고만 해도 2,558건에 달합니다. 이는 새 충돌 문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각지에서 발생한 유리창 새 충돌 사고를 기록하여 모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충돌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요. 더욱이 서울시내에서 유리창 충돌 사고로 기록된 새의 종류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나 참새뿐 아니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새매와 솔부엉이, 소쩍새,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매, 이외에도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노랑딱새, 멧도요, 벙어리뻐꾸기, 흰눈썹황금새, 오색딱따구리, 파랑새 등 매우 다양합니다. 새 충돌 사고는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매일 일어납니다. 대도시라고, 우리 구에는 그런 민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문제를 외면하지 마시고 관내 건물과 방음벽 주변에 충돌 사고가 없는지 모니터링부터 시작해 주십시오. 

제 의견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장으로 의견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인공지능의 잘못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발자, 기업이 대비해야 해요

기존처럼 인공지능을 만들고 관리하고 수익을 얻는 주체인 기업이 책임을 져야한다고 봅니다. 다만 기업 위주로 관리되지 않는 AI 가 나올 수 있는데 정부 역할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페이크 사진 유포 등을 막기 위해 AI 로 작업한 이미지인지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넣으면 좋을 것 같네요.

최소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 되어야겠네요.. 전장연 시위도 약속했던 것들이 이뤄지지 않으니 행동하는 것이였고.

직접 고용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해고가 너무 편법으로 이뤄지는 것 같네요.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하기엔 효용성은 부족한 것 같고. 시장논리에 의해 기업들은 움직이기 때문에. 어떻게 풀어나가야할지 막막한 문제라고 느껴집니다.

⑤근로자 정보보호기준의 강화:
이 문제를 생각하지 못했는데 독일처럼 대응책이 마련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산업구조와 노동구조가 바뀌면서 법들도 하루빨리 바뀔 필요가 있겠네요.

아웃소싱에 찬성하지만, 법과 제도를 보완해야 합니다.

아웃소싱 범위에 대해 어느정도 규제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웃소싱 노동자에 대한 임금 향상 및 사회적 안전망 보장이 되면 좋겠습니다.

남녀 직업군 분포 차이로 인해 소득 차이가 발생하고 삶의 불평등까지 이어진다는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근로 소득이 높다고 삶의 만족으로 가진 않는 것 같아요. 임금이 조금 적더라도 몸이 덜 힘들거나 안정적이거나 시간여유가 많은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으니깐요.

직업 선택에 있어 아직 남녀 성향이 아직 작용한다는 것엔 체감으로 느꼈었는데 점점 완화되어가는 것 같아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일회용컵에다가 컵홀더까지 차 한잔에 쓰레기가 많이 나오네요. 컵홀더라도 줄였으면 좋겠네요. 

신동근 외 26명 에게 촉구합니다.

협동조합의 성숙, 발전에 역행하는 기획재정부 조직개편(안)의 재고, 철회를 촉구합니다.

정부에 부동산 전담 기구를 설치해야 합니다.

국선 공인중개사 제도와 부동산 감독관도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기후위기 때문입니다! 미리 대비하지 못한 인재입니다!

기후 위기로 발생했지만, 인명피해는 충분히 대처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앞으로 더 이상 인명피해가 나지 않도록 조치가 필요합니다.